SUBVERSION 설치 후 윈도우에서 배치프로그램 작성 작업을 진행하려 한다.
Svnserve명령어를 이용하여 SVN을 실행한다.
설명
svnserve -> svnserve를 실행한다.
-d -> 데몬으로
-r -> root
경로 -> 여기서부터 svnserve경로를 잡겠다는것
방화벽 허용을 해주면
실행전
netstat에서 현재 svn(포트3690)이 없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행 후
실행 전 과 후를 확인해보면 svn 포트(3690)가 열려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윈도우 시작시 데몬으로 자동등록 서비스 시작
SVN서버를 윈도우를 시작시 자동으로 서비스(OS)에 등록하려는 작업이다. 윈도우 서버 한정으로 서비스에 등록하는 과정을 적어보려 한다.
서비스 생성 명령어이다.
간단하게 설명하는 binpath에 있는 exe파일을 실행하고 svnrepository를 루트 디렉토리로 설정하는 Subversion Server라는 이름을 가진 서비스를 Tcpip 에서 실행을 시키겠다는 서비스다. 더 자세한건 제가 무지하니 다른분들이....
뙇 서비스를 등록하는데 성공하였다
시작-실행-서비스에 들어가보니 내가 만든 서비스가 자동으로 등록되어있다. 눌러서 재대로 등록이 되었는지 확인!
재부팅을 하고 netstat으로 해당 포트(SVN-3690)에 열렸는지 확인하니 LISTENING중으로 잘 뜬다!
'To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N-이클립스(IDE) 연동 (0) | 2017.07.31 |
---|---|
tortoise 저장소 설치 및 서버,계정 설정 (0) | 2017.07.31 |
tortoise svn 설치 (0) | 2017.07.31 |
Subversion 1.8.17 설치 (0) | 2017.07.31 |
윈도우 사용자 기반 웹스톰(webstorm)에서 cmd -> git bash 사용방법 (0) | 2016.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