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들에서 설치한 svn을 이클립스와 연동하려고 한다. 현재 작성자는 이클립스 mars버전으로 작업하였다.

이클립스를 실행시키고 상단인터페이스 탭에서 help-> Eclipse Marketplace에 접속한다.

접속하여 svn subversive라 검색하면 위에 사진과 같은 플러그인이 나온다. 아래와 같이 설치를 진행한다.

재시작

설치가 완료되면 svn 연동을 작업해보자 window->showview->svn repository Exploring을 실행한후에

마우스우클릭->new repositoryLocation을 실행한다.

실행하면 URL이 뜨는데 svn://IP(localhost)/svnRepository가 설치된 경로로 찾는다.(중요)

svn설치 경로는 이전에 설치하였던 svnserve디렉토리/tortoise로 만든 repository디렉토리이다.

필자와 같은 경우는 d:\svn을 svnserve에 등록하였고 그아래 폴더에 sample1이라는 폴더를 만들어서 레포지토리로 설정하였으므로 작성자의 url은

svn://localhost/sample1 이며 윈도우  url은 d:\svn\sample1이 된다!

관련 사진이 없어져서 글로 대체한다. 그리고 하위에 Authentication에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데 해당계정은 이전글에서 passwd폴더에 등록한 아이디 및 비밀번호로 접속이 가능하다. 접속이 된다면 save authencation를 체크하여서 계정을 자동저장해놓자.

설정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이렇게 폴더가 출력된다.

설정이 완료되면 단무지(!?)를 마우스우클릭->checkout을 하여 이클립스로 체크아웃한다.

체크아웃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이클립스 프로젝트에 정상적으로 저렇게 등록이 된다.

등록을 정상적으로 완료하였으니 커밋을 진행해본다 아무파일이나 하나 생성하여서 마우스우클릭-> team->commit을 실행한다

 

내가생성한 리소스가 정상적으로 들어가있는지 확인하고 commit을 하면 정상적으로 커밋이 완료된다 확인은 해당repository에 들어가서 리비전을 확인하면 된다!.

 

 

 

앞서 SVNSERVER (subversion)을 설치하였으므로 이번에는 svn클라이언트인 tortoisesvn을 설치하려 한다. 윈도우 컨텍스트 메뉴에 들어가서 마우스 우클릭하면 svn을 쉽게쉽게 사용할 수 있게하는 클라이언트 툴이다. 해당 글에서는 1.8.12를 기준으로 설치를 하며 subversion의 버전과 호환이 되야하므로 어느정도 버전을 맞추길 권장한다. 작성자는 1.6버전으로 설치했다가 subversion이랑 호환이 안되어서 1.8.12로 새로 설치하였다. 

tortoise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TortoiseSVN를 참고하시길 바란다.

https://sourceforge.net/projects/tortoisesvn/ 에 접속한다.

레포지토리에서 내가 원하는 버전 (1.8.12)를 다운받는다.

tortoise는 language pack으로 한글 버전을 지원하므로 한글을 사용하고 싶은 사람들은 랭귀지 팩도 설치하시길 바란다.

다운로드 중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tortoise파일을 실행시켜 설치를 진행한다.

권장설치 방식으로 설치하였으며 D드라이브에 설치하였다.

 

 

 

 

 

인스톨 완료! 이제 언어팩을 설치하자

설치하면 General에 들어가서 TortoiseSVN탭에 Language를 한글로 변경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이번에 프로젝트에서 버전관리 및 CI배포툴을 설치 할 일이 있어서 설치를 진행하면서 설치관련하여 간단하게 블로그에 적고자 한다. 현재 서버에 설치된 프로그램은

SVN(subversion) 1.8.17

Tortoise(svnclient) 1.8.12

Jenkins(CI)

Eclipse(IDE -SVN연동)

를 설치하였으며 설치관련 가이드 및 자동배포, 보안설정과 같은 기본적인 가이드도 함께 적고자 한다. 이글에서는 subversion(SVN서버) 를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려 한다.

 

https://sourceforge.net/projects/win32svn 에 접속한다.

드래그된 1.8.17 msi 확장자를 다운로드 받는다(윈도우 인스톨)

실행 후 하단의 방법으로 설치를 진행했다 ( 기본 설치로 진행)

 

 

 

 

 

svn서버를 설치 할 디렉토리를 선택한다

설치가 완료된 폴더의 상태

 

cmd 창에 svn을 입력해서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는지 확인해보자!

설치가 완료되었다. 다음글에서 svn 관련 설정작업을 진행하고자 한다.

+ Recent posts